Visual Studio Code
VSCODE 빌드 환경(tasks.json)과 디버깅 환경(launch.json) 구축
민이뭘라이프
2022. 8. 14. 23:55
Visual Studio Code에서 빌드 환경과 디버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각각 tasks.json 파일과 launch.json 파일을 작성한다.
- tasks.json : 빌드 환경 구축 (Makefile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설정 파일)
- launch.json : 디버깅 환경 구축
1. 빌드 환경 구축 (tasks.json)
- VSCODE 메뉴바에서 [터미널(Terminal)] > [기본 빌드 작업 수행(Configure Default Build Task ..] > [템플릿에서 tasks.json 파일 만들기] 선택
- MS build, maven, .Net Core, Other 옵션 중 아무거나 선택한 후 수정
- .vscode 폴더와 그 안에 tasks.json 파일이 생성이 된다. 빌드를 위한 코드를 작성한다. tasks.json 내용을 변경했다면 VSCODE를 재실행해야 반영이 된다.
- 빌드와 관련된 사항을 작성 후 저장하고, 실행하고자 하는 코드 파일에서 Ctrl + Shift + B를 누르면 빌드를 진행한다. (빌드 할 때 tasks.json 파일이 선택된 상태에서는 빌드가 되지 않음)
2. 디버깅 환경 구축 (launch.json)
- VSCODE 메뉴바에서 [실행(Run)] > [구성 추가(Add Configuration..] > 언어에 맞는 디버거 선택
3. 미리 정의된 변수
VSCODE 에서는 빌드 환경과 디버깅 환경 설정 파일에 사용되는 변수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. 이 정도 변수만 알고 있으면 tasks.json과 launch.json은 수정할 수 있다.
- ${file} : 현재 열려있는 파일
- ${fileBasename} : 현재 열려있는 파일의 기본 이름
- ${fileDirname} : 현재 열려있는 파일의 디렉토리 이름
- ${fileBasenameNoExtension} : 파일 확장명이 없는 현재 열린 파일의 기본 이름
- ${workspaceFolder} : vscode에서 연 폴더의 경로
- ${workspaceFolderBasename} : vscode에서 연 폴더의 경로에 위치한 폴더들의 이름
- ${relativeFile} : workspaceFolder에서 현재 열린 파일
- ${cwd} : 현재 작업 디렉토리
- ${lineNumber} : 현재 선택된 행 번호
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자.
Visual Studio Code Variables Reference
Visual Studio Code variable substitution reference
code.visualstudio.com